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분식회계,역분식회계 뜻 알아보기

by ▨▩♥◑º세선이 2022. 7. 27.

경제 신문을 읽다 보면 기업이 분식회계를 했다는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분식회계란 기업 실적을 좋아 보이도록 하기 위해 조작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오늘은 분식회계, 역분식회계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분식회계 뜻

 

  • 분식회계 : 경영 성과가 실제 성과보다 좋아 보이도록 재무제표를 조작하는 일

 

분식회계란 기업이 자신들의 재무제표를 부풀려서 좋아 보이게 조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기업 실적을 자기들 마음대로 조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엄연한 불법이며 사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분식회계를 통해 재무제표를 조작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유형이 있는데요. 대표적인 2가지 유형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분식회계 유형 2가지>

 

  • 재고를 매출액에 포함시켜 버리기
  • 돌려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돈을 이익금에 포함시켜 버리기

 

첫 번째 분식회계 유형입니다. 예시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A기업의 2022년 매출액은 총 100억 원입니다. 그리고 A 기업의 창고에는 여전히 팔지 못한 상품 재고가 10억 원 치 있습니다.

 

이 경우 A 기업의 매출액은 100억 원이죠. 근데 A 기업은 창고에 있는 상품 재고 10억 원까지 매출액에 포함시켜버립니다. 즉, 매출액이 많아 보이게 조작하는 것입니다. 이 것이 기업들이 가장 많이 하는 분식 회계 방법입니다.

 

두 번째 분식회계 유형입니다. B라는 기업이 2022년 1년 간 다른 곳에 빌려준 돈은 총 100억 원입니다. 근데 B기업은 100억 원을 돌려받지 못할 것 같습니다. 여기서 돌려받지 못할 것 같은 100억 원을 대손충당금이라고 하는데요.

 

이 경우 기업은 대손충당금을 재무제표의 이익금액에 포함시키면 안 됩니다. 돌려받지 못하는 금액이니까요. 근데 기업이 대손충당금을 제 무재 표 이익금액에 포함시켜 버리는 것이죠. 이 것 역시 대표적인 분식 회계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왜 분식회계를 하는 걸까요? 분식회계를 하는 대표적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분식회계를 하는 이유>

 

  • 투자자들을 끌어모아서 투자금을 마련하기 위함

 

기업의 실적이 좋을 때는 분식회계를 할 이유가 없습니다. 근데 기업의 실적이 좋지 않고 불황기일 때는 투자자들이 투자를 하지 않습니다.

 

근데 불황기일수록 돈은 더 필요합니다. 따라서 기업이 분식회계를 통해 조작을 하는 것입니다. 그럼 조작된 좋아 보이는 재무제표를 보고 투자자들이 투자를 하게 됩니다.

 

이때 기업은 투자자들의 투자금을 통해 기업을 다시 살리려고 하는 것입니다. 근데 이 경우 투자자들은 나중에 큰 손실을 입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가에서는 민법, 형법, 행정소송법 등에서 분식회계를 불법으로 지정해 두고 있습니다. 손실을 입은 투자자는 소송을 통해 손해 배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역분식회계 뜻

 

  • 역분식회계 : 경영 성과를 실제 성과보다 나빠 보이도록 조작하는 일

 

역분식회계는 분식회계와 반대의 상황입니다. 기업 실적을 더 떨어뜨려서 실적이 나빠 보이도록 조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럼 왜 이런 일을 하는 걸까요?

 

<역분식 회계하는 이유>

 

  • 기업 자신의 주식을 싸게 사기 위함
  • 기업 자신의 주식을 통해 시세 차익을 얻기 위함
  • 임금을 적게 주기 위함
  • 세금을 적게 내기 위함

 

첫 번째 이유입니다. 기업은 자신들의 주식을 일정 지분만큼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기업이 자신들의 주식을 사는 것을 자사주 매입이라고 하는데요. 자사주 매입을 할 때 조금 더 싸게 사기 위해 역분식회계를 합니다.

 

기업의 실적이 나 빠보이게 만들면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의 주식을 다 팔아버리고 떠납니다. 그럼 주가가 하락하게 되겠죠. 이때 기업은 자신들의 주식을 싸게 사는 것입니다.

 

두 번째 이유입니다. 기업 실적이 나빠 보이도록 만들면 투자자들은 해당 기업 주식을 다 팔아버립니다. 그 결과 주가가 하락하게 됩니다. 그럼 기업이 이때를 놓치지 않고 싼 가격에 자신 기업의 주식을 대량으로 삽니다.

 

그리고 다음 해 원래대로 실적을 발표하면 작년에 비해 실적이 매우 좋아진 것처럼 보입니다. 그럼 투자자들은 좋아진 실적을 보고 투자를 하게 됩니다. 그 결과 주가가 상승하게 되죠.

 

이때 기업은 작년에 샀던 자신들의 주식을 대량으로 매도합니다. 이때 엄청난 시세차익을 얻게 되는 것이죠.

 

세 번째 이유입니다. 기업이 직원들 임금을 적게 주기 위해 역분식회계를 하는데요. 기업의 실적이 너무 나쁘다고 말하면서 도저히 임금을 줄 여유가 없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네 번째 이유입니다. 기업 실적을 나쁘다는 것은 기업이 번 수익이 적다는 것입니다. 수익이 많으면 세금도 많이 냅니다. 반면 수익이 적으면 세금도 적게 냅니다.  결론적으로 세금을 적게 내기 위해 역분식회계를 하는 것입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 자본 잉여금 뜻, 이익 잉여금 뜻 알아보기 ↓

 

자본 잉여금 뜻, 이익 잉여금 뜻 알아보기

자본 잉여금 뜻, 이익 잉여금 뜻 알아보기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면 자본 잉여금, 이익 잉여금이라는 용어를 볼 수 있습니다. 용어의 뜻을 알아햐 좋은 기업인지 판별이 가능한데요. 오늘은

aa.moneywho.co.kr

 

<마치며>

 

분식회계, 역분식회계는 기업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하는 것입니다. 이제 경제 기사에 해당 용어가 나오면 무슨 뜻이지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상 분식회계, 역분식회계 뜻에 관한 글이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