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4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알아보기
A 가구에서 B 가구로 세대 변경을 하는 경우, 이사를 하는 경우 등 전입신고가 필요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만약 전입신고를 한 가구에 세대주가 따로 있는 경우에는 세대주가 반드시 전입신고 확인을 해야 합니다.
오늘은 정부 24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부 24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1.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이란?
- 세대원이 전입 신고를 할 경우 세대주가 인증서를 통해 전입신고 확인을 하는 일
A라는 가구가 있습니다. A가구는 아빠(세대주), 엄마(세대원 1), 자녀(세대원 2)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근데 사촌이 통학 문제로 인해 A가구에 와서 살기로 했습니다.
이 경우 사촌은 A가구로 이사를 와야 하므로 새로 전입 신고를 해야 합니다. 이때 사촌이 전입신고를 하면 세대주인 아빠가 전입신고 확인을 해야 하는데요. (A가구로 전입신고 시 사촌은 세대원 3이 됨)
여기서 세대주인 아빠가 하는 전입신고 확인이 오늘 알아볼 내용입니다. 참고로 전입신고는 이사한 지 2주 이내로 해야 합니다.
2.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해야 하는 이유
- 세대원이 전입신고를 하게 되는 경우 세대주에게 알림 문자 메시지가 발송됨
- 문자 메시지를 받고도 확인을 안 할 경우 2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첫 번째 문제 : 모르는 사람이 세대원이 됨으로써 세대원 자격 행사를 할 수 있음
- 두 번째 문제 : 등본 상에 모르는 사람 이름이 함께 올라가 있음
따라서 세대주가 전입신고 안내 문자를 받았다면 반드시 확인을 해야 합니다. 전입신고 확인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전입신고 확인 방법>
- 집 근처 동사무소에서 확인
- 정부 24 사이트에서 확인
동사무소에서 확인하는 방법은 방문만 하면 되니 어려운 것이 없습니다. 때문에 이 글에서는 정부 24 사이트에서 전입신고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3. 정부 24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1) 정부 24 사이트로 들어간다.
2) [서비스]-[사실/진위 확인] 메뉴로 들어간다.
3) [세대주 확인] 메뉴로 들어간다.
4) 나온 화면에서 입력해야 하는 부분을 모두 입력하고 '확인'버튼을 누른다.
5) '간편 인증하기'를 눌러서 인증을 한다. (카카오톡이 편리함)
6) 세대주 확인 화면에서 기간을 지정한 후 검색 버튼을 누른다.
위 화면에서는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는데요. 만약 있다면 신청자, 세대주 본인 확인 여부, 확인일자 등이 나옵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 세대주 변경 방법, 세대 분리 조건 알아보기↓
세대주 변경 방법, 세대 분리 조건 알아보기
세대주 변경 방법, 세대 분리 조건 알아보기 주택 청약 시 세대주인 경우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이러한 경우 신청자가 세대원이라면 세대주로 변경을 해야 합니다. 오늘
aa.moneywho.co.kr
<마치며>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은 동사무소에 가서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집에서 편하게 인터넷으로도 간편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상 정부 24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에 관한 글이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