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체결 강도 뜻 알아보기
단기 투자를 하는 경우 오늘 주가가 오를지 내릴지 미리 안다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실제로 도움이 되는 지표가 있는데요. 바로 주식 체결 강도입니다. 오늘은 주식 체결 강도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체결 강도
1. 주식 체결 강도 뜻
<주식 체결 강도>
- 매수 체결량에 대한 매도 체결량의 비율
- 주식을 사는 사람이 많은지 파는 사람이 많은지 파악 가능한 지표
- 하루 동안 주가가 상승 또는 하락 추세인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주식 체결 강도란 매수 체결량에 대한 매도 체결량의 비율입니다. 주식 체결 강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매수 체결량, 매도 체결량의 뜻을 이해해야 합니다.
주식 호가창을 보면 매수잔량과 매도 잔량이 나와 있습니다. 주식을 사려는 사람이 주식을 가장 빨리 사고 싶다면 매도 잔량의 가장 낮은 가격으로 주문을 내면 됩니다.
그럼 즉시 주식을 살 수 있게 되죠. 이와 같이 즉각적으로 매수 체결이 이루어지는 주문들의 개수를 매수 체결량이라고 합니다.
매도 체결량도 마찬가지입니다. 주식을 팔려는 사람이 가장 빨리 팔고 싶다면 매수 잔량 중 가장 높은 가격으로 주문을 내면 됩니다. 그럼 즉시 주식을 팔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즉각적으로 매도 체결이 이루어지는 주문들의 개수를 매도 체결량이라고 하죠. 매수 및 매도 체결량은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는 체결입니다. 때문에 주가 상승 및 하락과 연관이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주식 체결강도를 보면 오늘 주가가 상승할지 하락할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해가 어려우니 예시를 하나 보겠습니다.
아래 사진은 삼성증권에서 포착한 주식 호가창 사진입니다.
주식 호가창 사진을 보시면 체결강도가 나와 있습니다. 위 사진의 주식은 체결강도가 44.09%입니다. 체결강도가 100% 아래이므로 매도체결량이 더 많다는 뜻입니다. 이 수치만 보면 주가가 하락했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체결강도가 100% 아래라고 해서 반드시 주가가 하락하는 것은 아닙니다. 체결강도는 절대적 수치가 아닌 상대적 수치입니다. 체결강도는 마이너스가 되기도 하고 200~400%까지 오르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해당 주식의 체결강도가 지금까지 어떻게 변해왔는지도 함께 고려해 봐야 합니다. 상대적인 수치이기 때문이죠.
2. 주식 체결 강도 공식
- 체결 강도 = 매수체결량 ÷ 매도 체결량 × 100
체결 강도는 매수 체결량에서 매도 체결량을 나눠 100을 곱한 값입니다. 때문에 매수체결량이 높아지면 체결 강도는 높아집니다. 반대로 매도 체결량이 높아지면 체결 강도는 낮아지게 됩니다.
3. 주식 체결 강도 해석
- 체결 강도 100 이상 = 매수량이 많다, 주가 상승
- 체결 강도 100 아래 = 매도량이 많다. 주가 하락
- 체결 강도 100 = 매수, 매도량이 동일
보통 체결 강도가 100 이상이면 주가 상승하게 됩니다. 매수량이 많다는 뜻이기 때문이죠. 반대로 체결 강도가 100 아래라면 매도량이 많아 주가가 하락하게 됩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 ETF 호가 뜻, 호가 창 보는 법 알아보기↓
ETF거래 호가 뜻, 호가 창 보는 법
ETF 거래를 할 때 호가라는 용어가 나옵니다. 주식을 사고파는 경우에 반드시 나오는 용어인데요. 호가의 뜻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실제 호가창을 보면서 호가창을 보는 방
aa.moneywho.co.kr
<마치며>
주식 체결강도는 그날 주식을 매수한 사람이 많은지 매도한 사람이 더 많은지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를 통해 그냥 주식이 상승할지 하락할지 대충 예상이 가능하죠.
하지만 100%인 것은 아니므로 이 지표만 맹신해서는 안됩니다. 이상 주식 체결 강도 뜻에 관한 글이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