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틱 뜻 : 1 틱, 5 틱 매우 쉽게 설명
주식 거래를 할 때 차트를 보게 됩니다. 분봉, 일봉, 주봉, 월봉 차트가 있죠. 여기서 분봉 차트를 세분화하면 1분 봉, 3분 봉, 5분 봉, 10분 봉 등으로 나뉩니다.
그런데 1분 봉을 더 세분화할 순 없을까 하는 고민이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고민을 해결해 주는 것이 바로 주식 틱입니다. 오늘은 주식 틱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 1 틱, 5 틱을 그래프를 통해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주식 틱
1. 주식 틱 뜻
주식 틱은 1분 봉 차트보다 더 상세하게 주가 변화를 그래프로 보기 위한 것인데요. 호가 주문 한 세트를 묶어서 1 틱이라고 합니다.
이게 무슨 말인지 이해가 잘 안 될 수 있습니다. 좀 더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호가란 우리가 주식을 사거나 팔 때 특정 가격으로 특정 개수의 주식 주문을 내는 것을 말합니다.
주식을 사려고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낸다고 해서 바로 체결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시장에서 배추를 살 때도 이 집에서는 1000원을 부르고 저 집에서는 2000원을 부릅니다.
그럼 우리는 여러 배추 가게에서 부르는 가격을 들어보고 가장 저렴한 가격을 부르는 가게에서 배추를 삽니다. 주식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호가란 한자어로 부를 호, 가격 가입니다. 즉, 가격을 부른다는 뜻이죠.
원하는 가격으로 주문(호가)을 한 후 매수자와 매도자 간의 가격이 맞춰지면 주식 거래가 성사됩니다. 호가 주문 한 세트를 묶은 것을 1 틱이라고 했는데요. 호가의 뜻을 알았으니 이제 틱에 대한 개념을 예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표는 제가 호가 체결 내역을 예시로 적어본 것입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67,000원에 100개의 주식이 체결이 이루어졌습니다.
주문(호가) 체결 내역 | ||
시간 | 호가 | 체결 개수 |
17:01:03 | 67,000원 | 100개 |
16:59:05 | 68,000원 | 20개 |
16:59:01 | 67,000원 | 1개 |
16:59:00 | 66,000원 | 50개 |
16:58:49 | 65,000원 | 20개 |
이처럼 67,000원에 100개의 주식이 체결된 것을 1 틱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68,000원 가격에 20개의 주식이 체결이 되었습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68,000원 가격의 20개 주식이 체결된 것을 하나의 세트로 쳐서 1 틱이라고 합니다.
67,000원도 마찬가지겠죠. 67,000원 가격에서 1개의 주식이 체결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67,000원에 1개 주식이 체결된 것 역시 1 틱입니다. 마지막으로 65,000원에 20개 주식이 체결된 것 역시 1 틱입니다.
결론적으로 위의 표에는 1 틱이 총 5개 나와 있는 것입니다.
거래량이 많을수록 호가시간의 간격이 작습니다. 위의 표에서도 볼 수 있듯 시간 간격이 매우 작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호가 주문 체결은 한 번에 1개씩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한 사람이 많은 수량으로 호가 주문 낼 수도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호가 주문은 한 개씩 체결이 될 수도 있고 여러 개가 한 번에 체결이 될 수도 있습니다.
틱은 이처럼 아주 세밀한 초단위까지 그래프를 통해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초단타 투자를 하는 분들에게 중요한 지표입니다. 아래 사진을 보겠습니다.
위의 사진은 실제 삼성전자 호가창입니다. 67,400원에 934,166개의 주식이 체결이 되었습니다. 이 것이 하나의 1 틱입니다.
그리고 67,400원에 300개의 주식이 체결되었습니다. 이 것 역시 1개의 1 틱입니다. 바로 아래를 보시면 67,400원에 178개의 주식이 체결되었습니다. 이 역시 1개의 1 틱이죠.
각각 호가 주문이 체결된 1개의 세트를 1 틱이라고 부릅니다. 만약 1 틱을 5개를 모아서 한 세트로 만들면 5 틱이 됩니다.
틱은 분봉처럼 종류가 많습니다. 1 틱, 3 틱, 5 틱, 10 틱, 15 틱, 30 틱, 60 틱 등이 있습니다. 1 틱을 3개로 모아서 1개의 그래프로 나타내면 3 틱입니다. 1 틱을 5개로 모아서 1개의 그래프로 나타내면 5 틱입니다.
아래에서는 1 틱, 5 틱을 그래프를 보며 알아보겠습니다.
2. 1 틱 이해하기
아래 사진을 보겠습니다. 왼쪽은 삼성전자의 호가 주문 체결 시간에 따라 주가와 체결량을 나타낸 것입니다. 그리고 오른쪽은 1 틱 그래프를 나타낸 것입니다.
왼쪽 사진에서 제일 아랫부분의 15:19:59에 67,200 가격으로 총 17개의 삼성전자 주식이 체결되었습니다. 이 17개의 주식 체결건수를 하나의 세트로 묶어서 1 틱이라고 합니다.
오른쪽 그래프 부분을 보시면 해당 부분의 그래프 선이 67,200원에 위치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왼쪽 사진에서 중간 부분의 15:19:59를 보겠습니다. 주가가 67,100원이고 체결량은 1개입니다. 그래프에 맞추어보면 해당 부분의 그래프 선이 67,100원에 위치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구간 역시 하나의 세트로 1 틱에 해당합니다.
마지막으로 왼쪽 사진에서 빨간 네모 상자 안의 제일 윗부분 15:19:59를 보겠습니다. 주가는 67,200원이고 체결량은 2개입니다. 이 것 역시 하나의 1 틱입니다.
그래프에 맞추어 보면 그래프 선이 다시 67,200원으로 올라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위의 그래프는 1 틱 그래프이기 때문에 1 틱마다 그래프 선의 위치가 바뀐 것입니다.
만약 가격이 1 틱 가격이 연속적으로 동일하다면 그래프는 수평으로 일직선이 될 것입니다.
3. 5 틱 이해하기
이번에는 5 틱 그래프를 살펴보겠습니다. 아래의 왼쪽 사진은 삼성전자의 주가 추이 표입니다. 그리고 아래 오른쪽 사진은 삼성전자의 5 틱 그래프입니다.
위의 왼쪽 사진을 보시면 제가 초록색 박스 표시를 놓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박스 표시를 해놓은 부분이 각각 5 틱입니다. 즉, 아래 초록색 박스 1개가 5 틱입니다. 그리고 위에 있는 초록색 박스 1개가 5 틱입니다.
결국 위의 왼쪽 사진은 5 틱이 총 2개가 나와 있는 것입니다. 우선 아래 초록색 박스의 5 틱을 그래프에 맞추어보겠습니다. 오른쪽 그래프 사진의 첫 번째 초록색 박스가 왼쪽 아래 초록색 박스에 상응하는 부분입니다.
왼쪽 사진의 아래 초록색 부분을 봅시다. 15:19:42의 가격이 67,200원입니다. 그리고 15:19:51의 가격이 67,200원입니다. 5번의 체결이 이루어진 결과 가격 변화가 없습니다.
그래서 오른쪽 그래프에서 막대그래프가 아닌 직선 하나가 그려져 있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왼쪽 사진의 위의 초록색 부분을 봅시다. 15:19:52의 가격은 67,200원입니다. 그리고 15:30:13의 가격은 67,400원입니다. 200원이 올랐습니다.
그래서 오른쪽 사진의 그래프를 보시면 빨간색 막대그래프로 되어 있습니다. 가격이 상승했다는 뜻입니다.
위의 오른쪽 사진을 보시면 직선인 부분도 보이고 빨간색 또는 파란색 막대그래프가 보이기도 합니다. 여기서 직선 1개도 5 틱 1개에 해당합니다.
또 막대그래프 1개도 5 틱 1개에 해당합니다. 1 틱을 5개를 모아 1개의 막대그래프로 그리는 것이죠.
<마치며>
오늘은 주식 틱 뜻과 1 틱, 5 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처음 들으면 전혀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 됩니다. 하지만 한 번만 개념을 숙지해 놓는다면 앞으로 주식 투자할 때마다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