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WTI 원유 선물 인버스(H) 알아보기
원유 가격은 시기에 따라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합니다. 원유 등을 포함한 원자재의 경우 변동 폭이 매우 큰 편입니다. 상승을 할 때는 매우 큰 폭으로 상승합니다. 반대로 하락을 할 때도 매우 큰 폭으로 하락하기도 합니다.
보통 주식 등에서 가격이 상승하면 수익률을 얻게 됩니다. 하지만 가격이 하락할 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ETF가 있습니다. 바로 인버스(inverse) 상품입니다. 이 상품은 가격이 하락할 때 수익을 얻게 되는 상품입니다. 더 많이 하락할수록 더 많은 수익을 얻게 됩니다.
오늘은 원유 가격이 하락할 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ETF를 알아볼 건데요. 해당 ETF인 KODEX WTI 원유 선물 인버스(H)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KODEX WTI 원유 선물 인버스(H)
1) 기본 정보
KODEX WTI원유선물 인버스(H) 기본 정보 | |
특징 | 원유선물 가격에 -1배로 수익을 얻는 상품 |
기초 지수 | S&P GSCI Crude Oil Index ER |
총자산규모 | 1,340억 원 |
상장일 | 2017년 6월 13일 |
운용 보수 | 0.35% |
분배금 | 미지급 |
환헤지 여부 | 환헤지가 적용된 상품 |
기본 정보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KODEX WTI 원유 선물 인버스(H)는 원유 현물에 투자하는 상품이 아닙니다. 앞으로의 원유 가격이 어떻게 될지 미리 예측하고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즉, 원유 선물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거기에 더해 인버스 상품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원유 선물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상품입니다. 만약 원유 선물 가격이 1배 상승하면 1배의 손실을 얻습니다. 반대로 원유 선물 가격이 1배 하락하면 1배의 수익을 얻습니다.
즉, 원유 선물 가격과 반대로 수익이 나는 인버스 상품입니다. 추종하는 지수는 S&P GSCI Crude Oil Index ER입니다. 해당 지수는 미국 뉴욕 상업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원유 선물 가격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총 자산규모는 1,340억 원으로 크지도 작지도 않습니다. 그리고 2017년 6월 13일에 처음 출시된 상품입니다. 운용 보수를 보시면 0.35%인데요. 타 ETF에 비해 꽤 높은 편입니다. 그 이유는 선물, 인버스 상품이기 때문입니다. 선물이나 인버스와 같은 파생상품은 대게 운용 보수가 큰 편입니다.
분배금은 지급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성은 없는 상품입니다. 즉, 환헤지(exchange hedge)가 적용되어 있는 상품입니다.
2) 구성 종목
KODEX WTI원유선물 인버스(H) 구성 종목 | |
미국 달러 선물 | - |
원화예금 | 8.13% |
2022년 7월 WTI 원유 선물 | -83.89% |
구성 종목을 보시면 일반 ETF들과는 약간 다릅니다. 가장 주된 자산이 2022년 7월 WTI 원유 선물입니다. -83.89%라고 되어 있는데요. 인버스 상품이기 때문에 마이너스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3) 롤오버(roll over) 비용
원유 선물은 한 달마다 구성 종목이 계속 바뀝니다. 위의 표에서도 볼 수 있듯 2022년 7월 WTI 원유 선물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7월 한 달만 적용되는 것입니다. 현재 2022년 5월이므로 7월의 원유 선물이 구성 종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6월이 되면 다시 8월 원유 선물로 구성 종목이 교체되어 있을 것입니다. 자동으로 교체가 되는 것이죠. 이처럼 매월 자동으로 상품이 교체되는 것을 롤오버(roll over)라고 하는데요. 이 롤오버 비용이 상당히 크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예를 들겠습니다. 현재 2022년 5월입니다. 2022년 5월의 원유 가격을 현물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2022년 6월의 원유 가격을 선물이라고 합니다. 2022년 5월의 원유 가격은 80달러였습니다. 그런데 2022년 6월의 원유 가격이 100달러로 올랐습니다.
원유 가격이 20달러 오른 것입니다. 상품 내에서는 매월 구성종목을 변경합니다. 따라서 5월 원유를 매도하고 6월 원유를 매수해야 합니다. 그럼 상품 내에서는 5월 원유를 80달러에 팔고 6월 원유를 100달러에 사야 하는데요.
이 경우 롤오버 비용은 20달러가 발생합니다. 원유 가격이 올랐음에도 롤오버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수익이 나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롤오버 기능이 있는 상품은 수익률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4) 롤오버 위험성 없애는 법
롤오버 비용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았는데요. 롤오버 비용을 내지 않고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월물(monthly report) 교체를 하기 전에 매도를 하는 것입니다.
KODEX WTI 원유 선물 인버스(H)의 만기일은 매월 5~9번째 영업일입니다. 이 기간 동안 20%씩 나누어서 월물 교체가 시행됩니다.
따라서 만기일이 되기 전인 4번째 영업일에 매도를 하는 것입니다. 그럼 롤오버 위험성이 사라지는 것입니다. 다만 이 상품은 원유 가격이 하락할 때 수익이 나는 상품입니다. 즉, 하락할 때 롤오버 비용이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만약 원유 가격이 상승한다면 반대로 월물 교체 시 수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만약 손실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면 롤오버로 인해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내가 KODEX WTI 원유 선물 인버스(H) 상품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고 있을 때 만기일 전에 매도를 하면 롤오버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5) 차트
아래의 그래프는 KODEX WTI 원유 선물 인버스(H)의 가격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가격의 변동성이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 알아야 할 것은 가격이 일반 상품과 반대로 움직인다는 것입니다. 2022년 이후 원유 가격이 크게 상승했었습니다. 그런데 이 상품은 인버스 상품입니다. 따라서 2022년 이후 가격이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6) 수익률
KODEX WTI원유선물 인버스(H) 수익률 (2022.5.16 기준, 단위:%, 출처:삼성증권) | |||||
1개월 | 3개월 | 6개월 | 1년 | 3년 | 출시 이후 |
-7.11 | -28.57 | -39.15% | -54% | -66.32% | -78.07 |
수익률을 보시면 엄청난 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기간을 통틀어서 봐도 손실률이 매우 큽니다. 그럼에도 인버스 ETF에 투자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단기적인 수익을 얻기 위해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단기적으로 원유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인버스 상품으로 수익을 얻는 것입니다. 원유 인버스 상품의 경우 절대적으로 단기 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마치며>
오늘은 KODEX WTI 원유 선물 인버스(H)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원유 인버스는 하락에 베팅하는 상품입니다. 또 롤오버 비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여러 가지 변수가 많으므로 주의해서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 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