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PIR RIR 뜻 알아보기-경제용어

by ▨▩♥◑º세선이 2022. 5. 12.

무주택자라면 집을 사기 위해서 매월 월급을 모으게 되는데요. 집을 사는 데 걸리는 기간과 관련 있는 용어로 PIR이 있습니다. 그리고 집 월세와 관련된 용어로 RIR이 있습니다. 오늘은 PIR, RIR의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1. PIR 이란?

 

1) 뜻

 

PIR (Price Income Ratio; 소득 대비 주택 가격비율)이란 한 가구가 번 소득으로 한 채의 집을 사는 데 드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겠습니다. 연봉이 2500만 원인 사람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사람은 5억 원 하는 집을 사려고 합니다.

 

이 경우 이 사람은 연봉 2500만 원으로 5억 원 집을 사고자 돈을 모을 텐데요. 2500만 원을 한 푼도 쓰지 않고 5억 원 집을 사는 데 걸리는 기간은 20년입니다. 

 

PIR을 계산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바로 위의 예시를 함께 적용해보겠습니다.

 

PIR 계산 공식 PIR 계산 예시
PIR = 주택 가격 / 한 가구의 소득 한 가구의 소득 = 연봉 2500만 원

주택 가격 = 5억 원

PIR = 5억 원 / 2500만 원 = 20

 

PIR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택 가격에서 한 가구의 소득을 나누어 주면 됩니다. 한 가구의 소득이 연봉 2500만 원이고 주택 가격이 5억 원인 예시를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이 경우 PIR는 주택 가격인 5억 원에서 한 가구의 소득인 2500만 원을 나눈 값인 20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연봉 2500만 원을 20년 동안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5억 원 하는 집을 살 수 있다는 뜻입니다.

 

주택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PIR 값은 더 커지게 됩니다. 즉, 주택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집을 사는 데 걸리는 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2) 그래프 확인

 

아래의 그래프는 연도별로 PIR을 나타낸 것입니다. 2006년 PIR은 6.0입니다. 즉 집 1채를 사는데 평균적으로 6년이 걸린다는 의미입니다. 2012년을 보시면 PIR이 7.6입니다. 집 1채를 사는 데 7.6년이 걸린다는 의미입니다.

 

 

한국의-소득-대비-주택가격비율(PIR)-그래프-사진
한국의 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PIR), 출처: 국토교통부

 

 

이 그래프는 한국의 전국 평균 PIR 수치를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집 값이 비싼 서울 강남과 같은 곳의 PIR은 훨씬 더 높을 것입니다. 또 고소득층에 비해 저소득층의 PIR이 더 높은데요. 집 값은 고정되어 있는 반면 저소득층의 경우 소득이 저 적기 때문입니다.

 

 

2. RIR 이란?

 

1) 뜻

 

RIR(Rent to Income Ratio; 소득 대비 주택 임대료 비율)이란 나의 소득에서 집 월세로 나가는 돈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즉, 내가 매월 받는 월급에서 집 임대료가 얼마나 나가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PIR은 주택을 사는 데 걸리는 기간을 알려주는 지표였습니다. 그리고 RIR은 무주택자가 임대 주택의 임대료를 얼마나 내는지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매월 200만 원의 월급을 받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 사람은 현재 월세를 살고 있는데요. 매월 집 임대료를 50만 원 내고 있습니다. 이 경우 50만 원에서 200만 원을 나눈 값인 0.25가 RIR이 됩니다.

 

이 사람의 경우에 월급의 25%를 집 월세로 내는 것입니다. RIR을 계산하는 공식을 아래에서 한번 더 정리하겠습니다.

 

RIR 계산 공식 RIR 계산 예시
RIR = 주택 임대료 / 가구당 월 소득 가구당 월 소득 200만 원

주택 임대료 50만 원

RIR = 50만 원 / 200만 원 = 0.25 (25%)

 

 

2) 그래프 확인

 

아래의 그래프는 연도별로 전국 평균 RIR을 나타낸 것입니다. 2006년 RIR은 22.9입니다. 이 말은 전국 평균적으로 1가구 당 소득 중 월세로 나가는 비율이 22.9%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2018년의 RIR은 15.5입니다. 이 말은 전국 평균적으로 1가구 당 소득 중 월세로 나가는 비율이 15.5%라는 뜻입니다.

 

 

소득-대비-주택-임대료-비율(RIR)-그래프-사진
소득 대비 주택 임대료 비율(RIR), 출처:국토교통부

 

 

RIR에는 소득 구간 별로 특징이 있습니다.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의 RIR이 더 낮다는 것입니다. 고소득층은 전체 소득이 저소득층보다 많습니다. 동시에 주택 임대료로 나가는 비용도 저소득층보다 큽니다. 

 

반면 저소득층은 전체 소득이 고소득층보다 훨씬 적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주택 임대료로 나가는 비용도 고소득층보다 적습니다. 하지만 저소득층은 전체 소득에서 주택 임대료로 사용되는 비용이 큽니다.

 

고소득층의 주택 임대료가 평균적으로 더 높습니다. 하지만 저소득층의 전체 소득에서 주택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더 높습니다. 때문에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의 RIR이 더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마치며>

 

오늘은 경제용어 중 하나인 PIR RIR 뜻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경제 용어 중에서도 특히 주택과 관련된 용어였습니다. 집값이 크게 오른다면 PIR 값도 크게 상승할 것입니다. 

 

또 월세가 크게 오른다면 RIR 값도 크게 상승할 것입니다. 우리는 PIR과 RIR의 개념에 대하여 이해하였습니다. 앞으로 이러한 용어가 나오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