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LT ETF란?(미국 20년 만기 채권ETF알아보기)
ETF 중에 미국 20년 만기 채권의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 바로 TLT ETF입니다. TLT ETF는 만기가 20년이 넘게 남은 미국의 장기 국채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미국 장기 국채 ETF입니다.
개인이 채권에 투자하기에는 최소 투자 가능 금액이 10억,100억 등으로 너무 커서 투자하기에 어려움이 있는데 이때 개인도 투자할 수 있도록 해 준 것이 바로 TLT ETF입니다. TLT ETF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TLT ETF란?
TLT ETF란 미국의 국채 중 20년 만기인 국채의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채권이 무엇인지부터 하나하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채권이란?
채권이란 회사나 국가가 자금 조달을 위해서 채권이라는 이름으로 신용을 담보로 발행하여 파는 것을 말합니다. 미리 만기 기간과 이자를 정해 놓은 후에 만기가 되면 정해진 이자와 원금을 같이 받게 됩니다.
채권시장은 주식시장보다 거의 2배나 큽니다.
금리가 오르는 시기에는 채권보다는 은행에 돈이 더 몰리게 되어 채권의 인기가 떨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금리가 하락하게 되면 은행 이자보다 수익률이 좋은 곳을 찾게 되고 결국 채권으로 돈이 몰리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 채권은 발행주체에 따라서 국채, 회사채, 지방채, 특수채, 금융채로 나뉘고 만기 기간에 따라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로 나뉩니다. 그리고 이자 지급 방법에 따라 이표채, 할인채, 복리채로 나뉩니다.
TLT ETF는 채권이면서 동시에 주식이고 다양한 채권 중에 미국에서 발행한 국채에 장기채로 투자하는 국채의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2) TLT ETF 외 다양한 기간의 미국 국채 ETF 종류
코드 | 종목명 | 기간 | 변동성 | 배당 |
SHY | iShares 1-3 Year Treasury Bond ETF | 단기 | 작음 | 월배당 |
IEF | iShares 7-10 Year Treasury Bond ETF | 중기 | 중간 | |
TLT |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 장기 | 큼 |
미국의 가장 대표적인 채권 ETF를 살펴보면 위의 표와 같습니다. 채권의 만기 기간에 따라서 단기, 중기, 장기 ETF로 나누어집니다. 1년에서 3년을 만기 기간으로 하는 미국 국채 ETF는 SHY입니다.
그리고 7년에서 10년의 기간을 만기로 하는 ETF는 IEF이고 오늘 다룰 주제인 20년 이상의 만기 기간을 가진 ETF가 바로 TLT입니다.
이 세 가지 ETF 모두 블랙록에서 운용하는 iShares 브랜드에서 나온 ETF 상품들입니다. 또한 SHY, IEF, TLT ETF 모두 매월 배당금이 나오는 월배당을 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TLT ETF의 기본정보
발행사 | 블랙록 |
브랜드 | iShares |
듀레이션 (원금을 회수하는데까지 걸리는 기간) |
19.39 |
추종지수 | ICE U.S. Treasury 20+ Year Bond Index |
운용보수 | 0.15% |
총운용자산(AUM) | 151억달러 |
일거래대금 | 14억5천달러 |
다음 배당락일 | 22년3월1일 |
TLT ETF는 블랙록이라는 미국의 가장 큰 운용사에서 iShares 브랜드로 2002년 7월 22일에 출시한 상품입니다. TLT ETF의 듀레이션은 17.47입니다. 듀레이션이라는 것은 원금을 회수하는 데까지 걸리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장기 국채일수록 당연히 원금 회수 기간이 길어지므로 듀레이션이 커지게 됩니다. 그리고 금리의 변동이 있을 경우에 듀레이션이 커질수록 국채 금리의 변동성이 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TLT ETF가 추종하는 지수는 ICE U.S. Treasury 20+ Year Bond Index입니다. 그리고 운용보수는 0.15%이며 총 운용자산은 현재 151억 달러 정도가 됩니다. 하루에 거래되는 TLT ETF 거래 규모는 14억 5천 달러입니다.
TLT ETF는 배당을 매월 한다고 하였는데 가장 최근의 다음 배당락일은 22년 3월 1일이므로 배당을 받고자 한다면 이 날짜를 잘 챙기셔야겠습니다.
3.TLT ETF 구성 비중
TLT ETF는 100% 미국 국채로 이루어져 있고 구성되어 있는 채권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TLT ETF를 구성하는 채권을 보시면 만기 기간이 조금씩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51년 2월 15일이 만기인 미국 장기 국채가 11.0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2049년, 2048년, 2043년, 2051년 만기가 순서대로 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TLT ETF 구성종목의 대부분이 약 20년의 기간인 미국 국채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TLT ETF 수익률
그렇다면 TLT ETF에 투자를 해도 괜찮은 것인지 가장 중요한 수익률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그래프를 살펴보겠습니다.
위의 그래프는 TLT ETF의 주가와 수익률을 나타낸 것입니다. 2002년 TLT ETF가 처음 출시될 때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을 나타낸 것입니다.
출시된 이후로 크고 작은 등락이 있지만 대체적으로 꾸준히 주가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시장 흐름과 비슷하게 주가가 하락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TLT ETF의 수익률 표를 보겠습니다. 제일 위에 있는 TLT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TLT ETF의 수익률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 나와있는 TLT(NAV)는 TLT ETF의 순자산가치인데요.
ETF의 수수료나 부채 등을 모두 제외한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액에서 나오는 수익률입니다.
우리가 봐야 하는 수익률 부분이 바로 TLT(NAV)라고 되어 있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제일 아래의 Bloomberg Long U.S. Treasury Index는 블룸버그 장기 미국 재무 지수입니다.
TLT ETF의 2022년이 되어서의 수익률은 표의 앞 세 칸을 보시면 마이너스로 좋지 못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년 수익률은 -4.67%이고 3년 수익률은 5.74%이며 5년 수익률은 4.79%입니다.
그리고 TLT ETF에 장기투자를 한다고 한 경우 10년 수익률을 보시면 4.11% 정도가 됩니다. TLT ETF에 투자를 하기 전에 수익률을 보신 후 판단하여야겠습니다.
[TLT ETF란?(미국 20년 만기 채권ETF알아보기)]에 관한 글이었습니다.
댓글